미술이란 무엇일까요? 다양한 해석이 있을 수 있지만, 작가의 생각이나 감정, 혹은 그가 보는 사회의 문화 등을 언어가 아닌 시각적 요소들을 사용하여 표현한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우리가 어휘와 문법을 사용하여 소통을 하듯 미술은 시각적 어휘인 미술요소를 활용하여 자신을 표현하고 소통하는 것이지요.
작품의 만들어진 역사적 배경이나 당시의 문화, 그리고 이를 감상하는 감상자의 감정이나 그 시대의 환경 등 많은 요인들이 미술의 감상에 영향을 줍니다. 이에 더하여 어떠한 요소로, 어떤 원리를 활용하여 표현되었느냐에 따라 또 다른 의미적 해석을 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그림은 그림 내에 숨어있는 의미 외에도 미술의 요소들이 결합되어있는 방식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감상될 수 있습니다.
미술의 요소 중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선입니다.
선은 미술가가 사용하는 가장 기본적 요소입니다. 선을통해 드러나는 형상은 배경으로부터 분리되어지기도 하고, 선의 겹쳐진 정도에 따라 깊고 얕은 공간감이 생겨나기도 합니다. 또한 선을 활용하여 화면 내에서 눈여겨 바라봐주길 바라는 대상으로 시선을 유도하기도 합니다. 다른 예로 만화책에서 보여지는 그림처럼 인물의 동작이나 활력을 표현하여 그림에 생동감을 줄 수 있습니다.
조절하고 통제하는 선
선의 유형은 다양합니다. 직선과 곡선, 그리고 이를 규칙적으로 반복해서 긋느냐, 불규칙하게 긋느냐, 또는 어떠한 비율로 혼합해서 긋느냐에 따라 시각적으로는 큰 차이를 보여줍니다.
규칙적인 선은 통제된 형태를 나타내며 침착하고 차분한 느낌을 줍니다. 이러한 선은 건축물의 설계도, 어떤 물건의 설명서 등에서 활용됩니다.
자유를 표현하는 선
직선, 자 등의 도구를 활용한 통제된 선은 보는이로 하여금 깨끗하고 정갈한 느낌을 전달해 주지만, 보는이에게는 차갑고 딱딱하다는 생각을 들게 합니다. 이러한 곧은선은 정보전달을 위해서는 좋지만 작자의 느낌, 생각, 주관성을 표현하기에는 부적절합니다. 그리고 자연에는 곧은선이 없습니다. 곧은선은 인공적입니다.
인공적인 곧은선과는 반대로 자유를 표현하는 선이 있습니다. 이러한 선은 초현실주의 작가인 앙드레마송이나 앵포르멜 작가인 장뒤뷔페가 사용하였습니다. 이들은 자유롭고 억제되지 않은, 열정적이기도 하지만, 반대로 아무런 열정이 드러나지 않는, 다양한 방식으로 선을 활용하여 표현하였습니다.
규칙적인 선과 불규칙한 선
대부분의 작품 속에서는 두 선이 함께 사용됩니다. 예로 풍경화를 들 수 있는데, 자연의 모습과 동시에 인간이 만든 건축물이 함께 그려진 그림에서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그림은 선의 적절한 균형을 통해 자연과 인간의 조화로운 모습을 보여주기도 하고, 그림 내에 적절한 시각적 균형을 잡아주게 됩니다.
암시된 선
선은 실선처럼 연결되어 표현되는 선도 있지만, 점이나 문자, 문양등의 반복된 표현을 통해 암시된 선으로 표현되기도 합니다. 이때 각 점이나 문자들이 모여 리듬을 만들줍니다.
암시된 선은 게슈탈트 형태심리학이론 중 '연속성의 원리'로 설명할 수 있는데, 사람은 어떤 선이나 운동방향을 인지하면 그것을 하나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다고 합니다. 이러한 원리로 우리는 반복된 점을 하나의 선으로 인식하는 것이지요. 게슈탈트 심리학의 원리들은 다음 글을 통해 더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방향선
선은 감상자의 시선이 그림 내에서 전체적으로 흐르도록 설계됩니다. 방향선은 실선일 수도, 암시된 선일 수도 있습니다. 작자는 이처럼 선을 활용하여 자신의 감정적 표현이나 정보를 전달할 뿐 아니라 그림 내에 흐르는 시선도 고려하여 표현하게 됩니다. 그림을 감상하면서 어떤 방향으로 시선이 흐르는지 유의하며 보는 것도 하나의 감상법이 될 수 있습니다.
윤곽선
어떤 대상의 가장 바깥자리, 외곽을 보여주는 선입니다.
이 외에도 선은 다양하게 활용되어지고, 그림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됩니다. 또한 어떻게 사용되었는지에 따라, 보여지는 선의 방향에 따라 그림이 안정적이고 편안해 보이기도, 혹은 불안해 보이기도 하지요. 앞으로는 그림을 감상할 때, 어떤 선이 어떻게 그려졌고 어느 방향으로 그려졌는지, 짧은 선을 썼는지 굵은 선을 썼는지, 직선을 사용하였는지 곡선을 사용하였는지, 이러한 표현이 종합적으로 어떤 감정과 느낌을 불러 일으키는지 유의하시며 감상하신다면, 더 폭넓은 방법으로 작품을 감상하실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참고문헌 : <게이트웨이 미술사>
#미술의 요소_3차원의 미술 요소 (0) | 2020.07.13 |
---|---|
#미술의 요소_선(2)_동양미술 속 선의 변화 (0) | 2020.07.11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