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따씽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리따씽

메뉴 리스트

  • 홈
  • 무문 스토어
  • 분류 전체보기
    • 한국 미술사
    • 서양 미술사
    • 중국 미술사
    • 미술 매체 & 기법
    • 미술의 요소와 원리
    • 색
    • 그림 이야기
    • 짧은 생각

검색 레이어

리따씽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그림 이야기

  • #그림이야기_데자뷰

    2020.07.21 by 리따씽

  • #그림이야기_호작도

    2020.07.17 by 리따씽

  • #그림이야기_해바라기

    2020.07.16 by 리따씽

  • #그림이야기_내 아이에게 스마트폰을 보여줘도 될까?

    2020.07.14 by 리따씽

  • #그림이야기_나비의 기다림

    2020.07.09 by 리따씽

#그림이야기_데자뷰

기시감이라고도 하는 데자뷰는 프랑스어로 '이미 본' 이란 뜻이다. 데자뷰는 처음 겪은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이미 겪었던 일처럼 낯익은 느낌 또는 환상을 뜻한다. 그렇다면 데자뷰란 환상일 뿐일까? 기시감은 뇌의 측두엽과 관련되어 있다고 한다. 측두엽은 과거의 경험에 대한 기억과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역할을 하는 곳으로, 이 부위가 어떠한 일로 잘못된 기억이나 '가짜 익숙함'을 느끼게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아직 그것의 정확한 이유는 알지 못한다. 그렇다면 기시감을 왜 느끼는걸가? 데자뷰란 어떠한 것으로부터의 연결이 아닐까? 나는 데자뷰를 꽤 자주 보는 사람이다. 원인이 무엇인지, 그 꿈을 언제 꾸었는지는 정확히 기억나지 않지만 삶 속에서 자주 기시감을 느낀다. 친구를 만나거나 가족들과 있을 때, 혼자서 어딘가..

그림 이야기 2020. 7. 21. 22:23

#그림이야기_호작도

전통적으로 그려진 민화 중 많이 그려진 그림이 호랑이와 까치를 그린 호작도이다. 호랑이(虎), 까치(鵲), 도(圖) 라 불리는 그림은 순서를 바꿔 작호도라고도 한다. 호랑이는 나쁜 기운과 잡귀, 악령을 물리치는 액막이를 해준다고 믿었고, 까치는 기쁜 소식을 알려주는 새로 함께 많이 그려졌다. 우리 선조들이 그린 그림에 등장하는 대부분은 상징하는 바가 있거나, 사물의 이름을 동음이자의 문구로 바꾸어 읽어야 하는 등 이를 알아야 그림을 제대로 해석하고 읽을 수 있다. 호작도 속에도 숨은 의미가 있다. 호작도는 소나무와 호랑이, 까치가 함께 그림에 등장한다. 이때 소나무는 정월, 새해를 상징한다. 까치는 희작이라 하여 기쁜 소식을 전달하는 새로 좋은 소식, 기쁨 등을 의미한다. 이에 더해 표범의 '표'자는 중..

그림 이야기 2020. 7. 17. 23:06

#그림이야기_해바라기

#그림이야기_해바라기 해를 바라보고, 해를 닮았다 하여 이름까지 '해' 바라기인 이 꽃은 복을 부르는 행운의 상징으로 사람들이 좋아하는 꽃이다. 해바라기는 왜 복을 부르는 꽃으로 인식이 되었을까? 음양오행사상에서 보면 목화토금수 중 토(土)는 노란색으로, 동, 서, 남, 북, 중앙에서도 중앙을 담당한다. 목은 봄을, 화는 여름을, 금은 가을을, 수는 겨울을 상징하는데 이때 토는 계절에서 환절기를 담당한다. 이처럼 토는 중앙에서 오행의 변화를 매끄럽게 해 주고 중간에서 조율하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였을까? 옛 중국에서는 황제의 의복을 노란색으로 했었다. 조선의 왕은 황제의 색인 노란색을 입지 못하였고 대신 제후국의 색인 빨간 옷을 입었다. 후에 대한 제국을 선포한 고종이 노란색을 입었다. 노란색은 금(金)..

그림 이야기 2020. 7. 16. 11:47

#그림이야기_내 아이에게 스마트폰을 보여줘도 될까?

최근 어디를 가든 만나게 되는 풍경이 있다. 분명 가족이 나들이를 나온 것 같은데 어른 아이 할 것 없이 핸드폰만을 바라보고 있다. 어떤 가족 중에는 부모들은 대화를 나누거나 음식을 먹고 있고, 그들의 아이들은 핸드폰에 나오는 영상을 눈 한번 깜빡거림 없이 바라보고 있다. 가만히 있지 못하던 아이도 핸드폰만 쥐어주면 금새 조용히 앉아 스마트폰만 바라본다. 이러한 모습을 보고 있자면, 아이에게 조금은 안쓰러운 마음이 쓰인다. 마이크로소프트의 빌게이츠는 아이들이 14세가 될 때까지 휴대전화를 사주지 않았다고 밝혔다. 요즘과 같은 시대에, 그것도 지금과 같은 환경을 만드는데 지대한 공헌을 한 빌게이츠가 자신의 아이들에게 휴대폰을 사주지 않았다는 것이 조금은 놀랍기도 하다. "아이에게 핸드폰을 보여줘도 될까요?..

그림 이야기 2020. 7. 14. 12:17

#그림이야기_나비의 기다림

노란 배경에 가시뿐인 선인장과 그 위로 나비 한 마리가 앉아 있습니다. 나비는 잠시 쉬어가려는 듯 선인장 위에 고요히 앉아 있네요. 그 앞뒤로 구름이 흘러갑니다. 바람에 날릴 잎 하나 없는 선인장과 날갯짓을 멈춘 나비를 보고 있자니 모든 게 멈춘 듯 보이지만, 유유히 흐르는 구름으로 인해 시간이 흐르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저 나비는 선인장에 앉아 무슨 생각을 하고 있을까요? 지난봄을 회상하고 있을까요? 앞으로 올 꽃향기를 기다리고 있을까요? 곧 다가올 새로운 봄날, 자신의 화려할 날갯짓을 기대하고 있지는 않을까요? 선인장은 뜨거운 사막에서 작열하는 태양빛을 받으며 살아가기 위해 몸체에 수분을 저장하며 살아갑니다. 물기를 저장한 무른 몸과는 다르게 잎을 날카로운 가시로 변화시키며 척박한 환경에서도 꿋..

그림 이야기 2020. 7. 9. 21:35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MUMUN STORE TISTORY
리따씽 Copyright © 2019 MUMUN All rights reserved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